■ 이영동 프로필 | ||
|
오디오 발달사 |
소리의 개념 |
앰프 | 스피커 시스템 |
카트리지와 레코드 플레이어 |
녹음기 | CD 플레이어 |
튜너 | DVD |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 |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DAT) |
그래픽 이퀄라이저 |
헤드폰과 마이크 |
AV 시스템 |
오디오 용어 해설 |
카트리지와 레코드 플레이어 : 1 2 3 4 5 |
3) 톤암
-톤암의 종류 톤암의 종류는 형태나 동작 원리 등에 따라서 구분할 수 있다.
길이에 의해 분리할 때는 롱암(Long Arm)과 짧은 톤암(Short Tone Arm)으로, 형태로 분류할 때는 I형, J형, S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침압을 거는 구조에 따라서 다이내믹 밸런스형 (Dynamic Balance Type)과 스태틱 밸런스형 (static Balance Type)이, 톤암의 길이에는 전장(Total Length)과 실효장(Effective Length)이 있다. 카트리지 바늘 끝부터 톤암 회전축의 중심까지를 실효장(Pivot Stylus Distance)이라고 한다. 또 처음부터 뒤쪽 축 끝까지를 장(Over All Length)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톤암의 길이는 전장이 길면 실효장도 길다. 최근의 고급형 레코드 플레이어에 사용되는 톤암을 보면, 롱암의 경우에 실효장이 320mm에서 400mm까지가 있다. 이것은 보통 톤암의 실효장이 250mm라고 볼 때 상당히 긴 것이라고 할 수가 있다. 롱암을 사용하는 이유는 짧은 톤암에 비해 정확성과 안정감이 있기 때문이다. -헤드셀(Head Shell) 톤암에 카트리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으로, 최근에는 이 헤드셀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여 고급형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카트리지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의 1/5 정도가 이 헤드셀에서 손실된다. 이처럼 헤드셀에서 전기 신호의 손실이 많은 까닭은 재질이나 접촉 부위가 나쁘거나 잘못되어 있기 때문이다. 헤드셀의 재질로는 알루미늄을 성형하여 만든 것이 가장 많으며, 특수 플라스틱 가공이나 특수 합금(Mn, Cu,Ni)등 여러 가지가 있다. 중량은 보통 8∼12g정도가 좋다.
톤암이나 모터를 받쳐주기도 하는 베이스는 전에는 대개 목재로 만들어졌으나, 요즘에는 거의 플라스틱 사출로 대량 생산되고 있다. 고급 레코드 플레이어에는 천연 대리석에 베니어 합판을 사용하거나, 또는 납을 사용하여 특수 처리한 베이스도 있다. 대리석으로 만든 것은 제작비가 많이 들고 만들기도 어려운 점 등이 있으나 안정감과 견고성이 좋아 특수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베이스는 거의가 아연을 다시 캐스틱하거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베이스는 외부의 진동을 받지 않아야 하며, 자체 진동도 외부에 전하지 않아야 된다. 최근에 나오는 플라스틱 베이스 제품을 보면 특수 열처리로 단단하게 만들어졌지만, 중량이 가벼워서 안정감이 없어 보인다. 베이스가 잘못 만들어졌을 때는 음질이 불안정하고, 공기의 진동으로 스피커의 음압을 직접 받게 되며, 외부의 움직임에 따라 민감하게 되고, 외부의 진동을 차단하는 밑부분이 안정감이 없다.
특히 레코드 플레이어의 외형에 한몫을 하며, 톤암을 보호하기도 한다. 또 공기 중의 먼지가 턴테이블 위에 쌓이지 않게 하는 중요한 역할도 한다. ![]() 레코드 플레이어는 회전 방식과 동작상태에 따라 몇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회전 방법으로는 아이들러(Idler), 벨트(Belt), 다이렉트 드라이브(Direct Drive),리니어 트래킹(Linea Tracking)이 있으며 동작 상태에 따라 수동-반자동-완전 자동식이 있다. 1) 아이들러 방식(림 드라이브)
최근에는 이 아이들러 방식이 사라져가는 현상이다. 고무 롤러가 회전판을 돌릴 때 미세한 진동이 생기고, 오래 사용하면 마모되어 회전에 오차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것은 모터의 진동 험(Hum)이 벨트에 흡수됨으로써 회전판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평탄하게 레코드 음악 감상을 할 수 있다. 레코드 플레이어에서 발생되는 진동 험(Hum)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고급형의 레코드 플레이어이고, 벨트 드라이브 방식의 재생음은 많은 레코드 플레이어를 다루어 본 사람들에게 그 진수를 느끼게 한다. 그러나 고급 제품이 아닌 보급형에 사용되는 벨트는 오래 사용하면 늘어나거나 부식되어 회전에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장시간 사용하면 모터의 열이 전해지기도 하며, 벨트에 좋지 못한 기름이나 이물질이 묻어 역시 회전에 영향을 준다. 벨트가 끊어졌을 때 부품교환이 힘드는 것도 단점의 하나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