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날로그와 디지털
어떤 시스템의 동작을 전류, 전압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물리량을 이용
표현하거나 측정하는 것을 아날로그라고 하며 디지털은 데이터를 0이나 1 은 숫자나
문자형식으로 된 수치로 분산적인 수의 부호를 신호로 사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오디오시스템에서는 비닐 레코드를 사용하는 LP 레코드나 진공관 회로
설계 방식을 의미하며 CD나 LD, DVD등과 같은 플레이어 신호를 디지털이라고 한다.
CD(Compact Disk)
CD는 1.6마이크로 m의 트랙피치(track pitch) 를 따라 피트(pit)라 불리는 작은
홈(구멍)을 규칙적으로 뚫어 1과 0의 디지털정보(신호)를 디스크에 기록, 그 기록
패턴에 레이저 광선을 비춰 그 반사광의 변화로 1과 0의 신호를 얻는 직경 12cm의
디스크이다.
디코드/디코더(Decoder)
인코드(부호화) 된 신호를 원상태로 되돌 리는 것이다. 가령, 매트릭스 방식등에
의해 4채널의 신호를 2채널로 하여 전송했을 때, 그것을 원래의 4채널 신호로
되돌리는 장치를 디코더라 한다.
부호화(Coding)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 하기 위한 하나의 요소로 디지털화를 위해서는
표본화, 양자화의 공정뒤에 하나의 펄스 높이의 전압치를 컴퓨터와 같이 0과 1의
조합으로 표현하는 2진부호로 바꾸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을 부호화라고 부른다.
광(光)케이블(Optical Cable)
디지털 신호를 래이저 광선으로 변환하여 보내는 광(光)전송용 케이블을 가리킨다.
광통신용에는 투명도가 높은 석영 광파이버를 사용하지만 CD플레이어의 광전송에는
아크릴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케이블의 재질이나 단말의 마무리에 따라
음질이 변하는 것이 문제시되어 경면(鏡) 마무리가 된 석영 케이블이 등장하고 있다.
비트
bit란 수학에서 이진법 숫자인 2진수(0, 1)의 한자리이며 binary digit의 약자.
최소단위로 기억장치가 수용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기억용량의 기본단위이다.
MD
미니 디스크(MD)는 지름 64mm로 120mm인 일반 콤팩트 디스크(CD)에 비해 크기는
절반 정도며 면적은 4분의 1정도다. MD는 먼지와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디스크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얇은 보호 케이스 안에 들어있다. MD는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고 재생 전용으로 된 것도 있다.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이란 첨단 신호압축기술을 사용 64mm인 디스크에 CD와 동일한 74분까지의 녹음을 할 수
있다.
DCC
1991년 7월 네덜란드 필립스와 일본 마쓰시타 전기가 공동으로 개발한 디지털
오디오 기기로 기존 카세트 테이프와 주행 속도가 같고 크기가 같아 DCC플레이어에서도
아날로그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할 수 있어 호환성이 뛰어난 점이 특징.
D/A컨버터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시켜 주는 기기로서 CD플레이어나 LD플레이어에는
반드시 D/A컨버터가 설치되어 있다. 고급형의 CD플레이어는 거의가 이 D/A컨버터
회로 설계가 잘 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재생음질은 차이가 나게된다.
A/D변환기(Analog Digital Converter)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할 때 반드시 필요한 변환기를 의미하며 즉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변환과정에는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라는개의 작업이 행해지는데 그
중에서 양자화와 부호화를 담당하는 부분이 이 A/D변환기이다.
PCM프로세서
펄스 코드 모듈레이션용 프로세서, 비디오 데크의 영상 트랙을 사용, 입력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프로세서로 디지털 오디오시대에 불가분한 존재이다.
양자화(量子化: Quantization)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표본화(標本化)시켜 주는데 있어 각 신호의 레벨을
2진법으로 표시한 것을 양자화라고 부르는 것이다. 양자화의 정도가 세밀할수록
비트수가 많다. 즉 재생음의 다이나믹 레인지가 넓다는 것이다.
오버샘플링
CD,DAT의 D/A변환시에 샘플링 주파수 를 2배∼8배 시켜줄 때 이 부분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잡음을 커트시켜 주기 위해 로우 패스-필터(고주파 제거 회로)에 움직임을
좋게 하고 음질을 향상시켜 주는 방식
양자화(量子化)잡음
연속되어 있는 아날로그 신호를 계단식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테 필수적으로
발생되는 오차가 생기는데 이것을 양자화 잡음이라고 부른다. 비트수가 적을수록
양자화 잡음은 많아진다.
D.A.D (Digital Audio Disk)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란 말로서, 이제는거의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로 통일하여
사용하고 있다.
CIRC(Cross Interleave Reed Solomon Code)
CD 음반에서 디스크에 채용되어 있는 에어 정정방식을 CIRC이라고 부르는데 음반에
부착된 상처나 먼지 때문에 디지털 부호의 0 이나 1에 잘못이나 결락 같은 것이
있으면 잡음 발생된다. 이처럼 잘못되어 있는 에러를 사전에 발견하여 원신호 파형에
복원시키기 위하여 디지털화된 오디오 신호를 어느 일정한 약속에 의해 다시 바꿔
정정이나 보정을 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CD-ROM CD-ROM( Compact Dise Read Only Memory)
CD-ROM CD-ROM( Compact Dise Read Only Memory)이란 콤팩트디스크(CD)를 미디어로
하는 컴퓨터용 읽기전용메모리이다. 직경은 음악용과 같은 12cm이며 기억용량은
5백 40메가 바이트로 전송속도는 1백 50Kbps이며 평균액세스 시간은 0.5∼1초.
신문에 실린 기사로 1년분, A4사이즈의 서류로 27만매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기억이
가능하다.
아날로그 필터
D/A컨버터를 통과한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가 되어 우리가 들을 수가 있다.
그러나 가청대역을 훨씬 초월한 고주파에서는 양자화노이즈 등이 존재하므로
아날로그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써 초고역성분을 저감시켜 주게 된다.
지더(jitter)
양자화 노이즈는 원신호에 대한 고주파 왜곡과 비슷한 귀에 거슬리는 고유의 잡음이
있다. 이런 특정한 잡음을 지더 노이즈라고 하는데 CD플레이어에서 이런 잡음을
의도적으로 더해 주었다가 다시 빼냄으로써 양자화 노이즈가 들리는 방식을
평균화하여 청감상으로 완화시켜 음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CD-G(CD Graphics)
디지털 음악 이외에 일부 디지털 데이터를 넣는 부분이 있다. 이곳에 정지화면,
문자들을 넣어서 TV를 통하여 16가지 색상의 화면과 함께 음악을 즐길 수 있는
시스템인데, 주로 영상 가요 반주기에 많이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