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영동 프로필 | ||
|
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O | P | Q | R | S | T | U | V | W | X | Y | Z |
B&W : 1 2 3 4 5 6 7 |
모델 801 ' 시스템 등장![]() |
1979년 스튜디오 모니터용 설계 작품인 "모델 801" 시스템이 등장했다. 유닛한 설계 방식으로 3웨이 3유닛 구성의 밀폐형방식. 중 저 고역간의 재생 대역을 독립시켜 디자인된 인클로져 설계로 독특한 외형 디자인을 갖춘 대형 시스템으로 관심을 끌게 했다. 이 모델은 그 동안 수많은 레코드 스튜디오와 방송국에서 모니터용으로 사용되었을 정도로 혁신적인 시스템으로 오디오파일들을 흥분케 했다. 이 디자인은 801FS로 이어지는 등 롱런한 베스트 셀러 제품으로 B&W사를 대표하는 스피커시스템으로 기억되고 있다. 이 모델은 계속 개선되어 1981년에는 중 음역의 인클로저를 "fibrecrete"라는 신소재로 교체, 내부 진동이 전혀 없게 안정성 있는 음을 추구한 특수 재료를 사용했다. 이 소재는 콘크리트에 유리 섬유를 섞어 제작된 것으로, 인클로저 뿐만 아니라 유닛의 진동판에도 사용되었다. | ![]() |
![]() |
801FS 모델은 특수한 설계로 과부하 방지 회로를 탑재, 중 고역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게 뒤쪽에 레벨 조절 스위치를 부착해 놓았다. 고 음역인 트위터 에는 샤마리늄 마그네트를 사용, 801에서 사용되었던 니켈 코발트 계통보다는 성능을 향상 시켜 주었다. 동사는 1982년부터 86년까지 800시리즈를 집중적으로 소개하기 시작했다. 이중 모델 808은 위상 반전 설계의 3웨이 5유닛 구성 방식으로 독특한 외형 디자인을 갖춰 만든 시스템으로 일본 녹음기 전문 메이커인 나카미치(Nakamichi)회사와의 공동 설계 작품. 동사의 수준 급 설계 모델로, 위상과 지향 특성 등에서 이 좋아 디지털 신호 재생을 부드럽게 드라이브해준 방식으로 또 한번 관심을 갗게 했다. 즉 음성 코일과 자기회로를 개량 한 것도 특징중의 하나이고, "APOC(Audio Powered Overload Circuit)"이란 오디오 과부하 입력 보호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
![]() |
![]() |
이 시스템은 높은 음역이나 모든 주파수 대역을 평탄하게 들려주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느낌을 갖게 한다. 동사가 소개한 모델 801F와 802는 다른 스피커시스템에서 볼 수 없었던 고성능으로 성공을 거두었는데, 앞으로 동사가 새로 개발하는 뉴 디자인의 표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 시스템을 제작하는데 2년이나 걸렸다고 한다. 레코드 회사인 EMI는 그 동안 스튜디오 모니터용으로 사용 해오던 801F 대신 최대 출력 음압으로 설계한 808로 교체시켜 주었다. 801FS은 당시 EMI레코딩 스튜디오를 비롯해 데카, 폴리그램,필립스, 도이치 그라모폰과 같은 유명한 레코드 제작 스튜디오에서도 사용할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
![]() |
![]() |